카테고리 없음

Part.3 가상 악기 레코딩과 편집 - chapter 11. 드러머(Drummer)

Gamja 2021. 10. 4. 23:36

01. 드러머(Drummer) 준비.

 

  • 드러머 트랙 추가

드러머를 사용하려면 드러머 트랙을 새롭게 추가해야 한다. 트랙을 추가하는 버튼을 눌러 트랙을 추가하는 창이 뜨면 오른쪽 상단에 있는 Drummer를 선택하고 Create 버튼을 누른다.

<드러머 라이브러리>
<오른쪽 하단 : 드러머 에디터 영역>

  1. 드러머 : 원하는 장르와 이에 속한 드러머를 선택할 수 있다. 현재 선택된 드러머의 특성이 나와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드러머마다 드럼셋과 연주 방식이 서로 다른다.(Step 1)
  2. 사운드 : 선택한 드러머가 연주하는 드럼킷을 다른 드럼킷으로 교체할 수 있다.(Step 2)
  3. 룰러 영역 : 해당 드럼 리전이 룰러 시간축 상에서 점유하고 있는 마디들을 플레이 헤드와 함께 보여준다.
  4. 프리셋 : 현재 선택한 드러머가 여러 방식으로 연주하는 것이 프리셋으로 설정 돼 있다.(Step 3 왼쪽)
  5. XY 패드 : 아주 간단하게 드럼 연주의 강약과 복잡한 정도를 설정할 수 있다.(Step 3)
  6. 드럼 킷 컨트롤 : 드럼의 어떤 파트를 어떻게 연주할지 설정할 수 있다.(Step 4) 
  7. 퍼포먼스 컨트롤 : 연주 방식을 설정할 수 있다.(드럼 킷 컨트롤 오른 쪽)

 

 

  • 리전(Region) 패치

연주 방식을 설정하면 드러머가 자동으로 드럼을 연주한다. 그렇기에 가장 먼저 해야 할 일은 드럼 연주를 어느 부분에 넣을 것인지 결정하고 해당 부분에 몇 가시 자른 방식으로 연주를 할 것인지를 구상한 뒤에 연주 방식의 숫자만큼 리전을 만들어 해당 부분에 배치하는 것이다. 

 

드러머 리전을 생성하는 방법은 다른 가상 악기 리전을 생성하는 방법과 같다. 작업 공간에서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클릭하고 Create Drummer Region을 선택한다. 레코딩 편집에서 배운대로 리전을 이동하고 길이를 조절해가며 드럼이 어떻게 들어가는 것이 좋을지 고민한 후 해당 부분에 드러머 리전을 생성해서 배치하자.

 

드러머 리전을 추가할 때 메뉴를 잘 살펴보면 다른 트랙과 달리 리전을  생성하는 메뉴가 두 개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각 메뉴를 실행했을 때 실행되는 동작은 다음과 같다.

  • Create Drummer Region : 일반적인 리전 추가로 한 개의 리전이 추가된다.
  • Polulate with Drummer Regions : 빈 영역 없이 배곡하게 자동으로 드러머 리전을 추가한다.

 

 

 

2. 드럼 선택과 사운드 조정

 

  • 드럼 킷 디자이너(Drum Kit Disigner)

드럼 킷에서는 다양한 종류의 드럼을 선택하고 또 그 사운드를 튜닝할 수 있다. 드럼킷의 변경은 라이브러리의 사운드 영역에서 할 수 있다. 드럼킷을 변경하거나 선택하면 라이브러리 상단에 드럼 그림이 나타나며 드럼 그림에 커서를 가져가서 커서의 모양이 변할 때 클릭하면 드럼킷 디자이너가 선택된다.

 

 

 

  • 튜닝과 드럼 교체

드럼 킷의 각 부를 클릭하면 왼쪽에 교체할 수 있는 드럼의 몰록이 있는 Exchange Panel이 뜨고 오른쪽에 선택된 드럼의 사운드를 튜닝할 수 있는 Edit Panel이 뜬다.

 

킥을 선택하면 해당 드럼 킷에서 제공하는 킥의 종류가 왼쪽에 보이고  오른쪽에서는 선택한 킥의 사운드를 튜닝할 수 있는 편집 창이 보인다. 원하는 악기를 선택한 후 세부적인 소리를 오른쪽에 있는 편집 패널에서 튜닝하면 된다.

 

 

 

  • 드럼 머신 디자이너

드럼 머신 디자이너는 앞서 살펴본 드럼 킷 디자이너와 달리 전자음으로 구성된 비트를 넣을 때 사용한다. 일렉트로닉이나 힙합 카테고리의 드러머가 주로 드럼 머신 디자이너를 사용한다고 생각하면 된다.

<드럼 머신의 사운드>

여기서 Library 메인 화면에 있는 사진을 클릭하면 커서가 바뀌면서 드럼 머신 디자이너가 활성화된다.

 

<왼쪽 : 드럼 머신 디자이너>

 

 

  • 드럼 머신 디자이너 사운드 설정

먼저 악기의 명칭과 키가 표시된 각 메뉴를 누르면 해당 악기에 대해 세팅을 할 수 있다. 개별 악기 세팅을 마치고 전체적인, 또는 그룹별 사운드를 설정하려면 초기 메뉴로 돌아가야 한다. 초기  메뉴로 돌아가는 방법은 드럼 머신 디자이너의 가장 위쪽에 있는 드럼 머신의 이름과 이이콘이 표시된 영역을 클릭하는 것이다.

<컨트롤 영역에서의 사운드 설정>

초기 메뉴로 들어가면 위의 사진과 같이 컨트롤 영역이 아래에 활성화된다. 컨트롤 영역은 크게 믹스(MIX)와 이펙트(EFFECTS) 영역으로 나뉘어 있는데, 믹스 영역에서는 각 악기에 대한 그룹별 믹싱을 할 수 있다. 이펙트 영역에서는 모든 사운드에 공통으로 적용되는 각종 이펙트를 설정할 수 있다. 

 

Controls 오른쪽에 있는 Sends 버튼을 누르면 샌드 영역으로 화면이 전환되며, 각 악기에 대한 그룹별 딜레이와 리버브를 설정할 수 있다. 

 

 

 

3. 연주 방식 설정 - 드럼 킷 디자이너

 

  • XY 패드

프리셋 선택 창의 오른쪽에 있는 패드가 XY 패드다. XY 패드의 사용법은 패드 내에 원하는 위치를 클릭해서 동그란 모양의 버튼을 위치시켜주면 된다.

 

드럼 연주 세기를 나타내느 Soft, Loud가 패드의 위, 아래에 있고, 연주의 복잡함을 나타내는 Simple과 Complex가 패드의 좌우에 있다. 버튼이 Soft에 가까울수록 드럼을 약하게 연주하고, Loud에 가까울수록 드럼을 강하게 연주한다. Simple과 Complex도 마찬가지이다.

 

 

 

  • 드럼 킷 디자이너

XY 패드 오른쪽에 있는 것이 드럼 킷4 컨트롤이다. 드럼 킷 컨트롤에서는 현재 선택된 드럶 킷에서 어떤 악기를 연주할 것인지 선택하고, 해당 악기의 연주 패턴을 어떻게 가져갈 것인지 정할 수 있다.

<드러머 에디터 영역>

연주하지 않는 악기는 회색으로 표시된다. 연주하도록 활성화된 악기는 갈색으로 표시되며 오른쪽에 있는 슬라이드 바 위에 선택된 부분의 명칭이 표시된다. 

  • 상단 : 탬버린, 쉐이커, 손뼉 중 연주할 악기 선택
  • 중앙 : 심벌, 탐, 하이햇 중 연주할 악기 선택
  • 하단 : 킥, 스네어, 킥 & 스네어 중 연주할 악기 선택

연주패턴은 1, 2, 3, 4와 같이 숫자를 선택할 수 있는 슬라이드 바를 이용해 선택할 수 있느데 숫자가 증가할수록 세밀한 연주를 한다. 

 

마지막으로 팔로우(Follow) 기능을 살펴보자. 팔로우를 활성화하지 않았을 때에는 각종 값에 따라 최종으로 설정한 연주 패턴에 맞춰서 드럼이 연주되지만, 팔로우를 선택하고 팔로우할 트랙을 선택하면 킥과 스네어가 해등 트랙의 라임에 맞춰서 연주되며 좀 더 실제 뮤지션이 연주하는 것과 같은 효과를 줄 수 있다.

 

 

 

  • 퍼포먼스 컨트롤(Performance Control)
  1. Fills는 Fill in을 얼마나 할지 설정하는 노브다. 쉽게 말하자면 드럼으로 애드립을 얼마나 할지 정한다고 이해하면 된다.
  2. Swing 노브는 말 그대로 드럼이 연주되는 박자에 스윙감을 얼마나 줄지 설정할 수 있는 노브다.
  3. Detail 항목에는 필(Feel),  고스트 노트(Ghost Notes), 하이햇(Hi-Hat)총 세 개를 제어할 수 있는 노브가 있다. 필은 Pull과 Push로 드럼을 연주할 때 좀 당기는 느낌으로 연주하거나 미는 느낌으로 연주하게 설정할 수 있다. 

 

 

04. 연주 방식 설정 - 드럼 머신 디자이너(Drum machine Designer)

 

XY 패드 사용과 드럼 킷 컨트롤 영역에 대한 설정은 드럼 킷 디자이너를 사용하든, 드럼 머신 디자이너를 사용하든 기본적으로 같다. 약간의 차이가 있는 퍼포먼스 컨트롤 영역의 디테일 부분만 살펴보자. 

 

  • Complexity Range : 활성화된 각 개별 악기의 연주가 상황에 따라 때로는 단순하게, 때로는 복잡하게 변한다고 했을 대 , 그 복잡성(Complexity)의 범위를 설정할 수 있다.
  • Auto half-time : 오토 하프 타임에 체크하면 자동으로 템포를 합쳐가며 비트를 넣는다. 우리가 음악할 때 하는 하프 타임을 기계적으로 만들어준다고 생각하면 편하다.
  • Humanize : 약간씩 타이밍이 어긋나며 실제 사람이 비트를넣고 있는 것과 같은 효과를 준다.
  • Phrase Variation : 각 작은악절(Phrase)마다 다른 연주 패턴을 가져가게 변화를 줄 수 있다.

 

 

 

05. 드러머(Drummer) 직접 편집

 

  • 리전(Region) 변환과 편집

드러머 리전을 직접 편집하려면 이를 가상 악기 리전으로 변환해야만 한다. 오디오 리전을 가상 악기 리전으로 변환한다는 것은 원론적으로 불가능하다. 오직 드러머 리전에서만 쉽게 편집할 수 있게 가상 악기 리전으로의 변환을 할 수 있게 디자인됐을 뿐이다.

 

드러머 리전을 가상 악기 리전으로 변환하는 방법은 아주 간단하다. 변환하고자 하는 드러머 리전을 선택하고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클릭한 후 Convert 항목에 있는 Convert to MIDI Region을 클릭하면 된다. 이렇게 변환된 리전을 피아노 롤과 스코어 에디터 등을 이용해 레코딩한 리전을 편집할 수 있다.

 

 

 

  • 악기별로 리전을 분리해 편집

드럼은 각 키에 대응하는 소리가 제각각이기에 하나의 피아노 롤 에디터나 리전에서 편집하기가 쉽지 않다. 로직에서는 편리한 드럼 편집을 위해 악기별로 리전을 분리할 수 있다. 

 

악기별로 리전을 분리하는 방법은 간단하다. 분리할 리전을 마우스 오른쪽 버튼으로 클릭한 다음 Seperate by Note Pitch를 선택하면 된다. 

 

 

 


※ 본 블로그는 개인 공부를 위해 만든 것으로 무단 배포를 금지하며,

책 <Logic Pro X 10.6 - 윤준혁>을 토대로 작성한 글임을 알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