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대생의 음악 공부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공대생의 음악 공부

메뉴 리스트

  • 홈
  • 태그
  • 방명록
  • 분류 전체보기 (9)

검색 레이어

공대생의 음악 공부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전체 글

  • Part.3 가상 악기 레코딩과 편집 - chapter 11. 드러머(Drummer)

    2021.10.04 by Gamja

  • Part.3 가상 악기 레코딩과 편집 - chapter 10. 가상 악기 레코딩

    2021.09.29 by Gamja

  • Part.3 가상 악기 레코딩과 편집 - chapter 10. 가상 악기 레코딩

    2021.09.27 by Gamja

  • Part.3 가상 악기 레코딩과 편집 - chapter 09. 가상 악기 레코딩

    2021.09.26 by Gamja

  • Part.3 가상 악기 레코딩과 편집 - chapter 09. 가상 악기 레코딩

    2021.09.25 by Gamja

  • Part.2 인터페이스와 기본 사용 법 - chapter 08. 세팅과 인터페이스 사용자화

    2021.09.25 by Gamja

  • Part 2. 인터페이스와 기본 사용법 - chapter 07. 로직 작업 과정 미리보기

    2021.09.25 by Gamja

  • Part.2 인터페이스와 기본 사용 법 - chapter 06.로직 프로 메인 윈도우

    2021.09.24 by Gamja

Part.3 가상 악기 레코딩과 편집 - chapter 11. 드러머(Drummer)

01. 드러머(Drummer) 준비. 드러머 트랙 추가 드러머를 사용하려면 드러머 트랙을 새롭게 추가해야 한다. 트랙을 추가하는 버튼을 눌러 트랙을 추가하는 창이 뜨면 오른쪽 상단에 있는 Drummer를 선택하고 Create 버튼을 누른다. 드러머 : 원하는 장르와 이에 속한 드러머를 선택할 수 있다. 현재 선택된 드러머의 특성이 나와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드러머마다 드럼셋과 연주 방식이 서로 다른다.(Step 1) 사운드 : 선택한 드러머가 연주하는 드럼킷을 다른 드럼킷으로 교체할 수 있다.(Step 2) 룰러 영역 : 해당 드럼 리전이 룰러 시간축 상에서 점유하고 있는 마디들을 플레이 헤드와 함께 보여준다. 프리셋 : 현재 선택한 드러머가 여러 방식으로 연주하는 것이 프리셋으로 설정 돼 있다.(S..

카테고리 없음 2021. 10. 4. 23:36

Part.3 가상 악기 레코딩과 편집 - chapter 10. 가상 악기 레코딩

07. 아티큘레이션(Articulation) 편집 아티큘레이션은 연속되는 선율을 좀 더 작은 단위로 구분해서 각 단위에 어떤 형과 의미를 부여하는 연주 기법을 뜻한다. 예를 들면, 짧게 끊어 경쾌하게 연주(스타카토)하거나 벨로시티를 빠르게 올리며 연주(크레셴도)하는 것 등을 떠올릴 수 있을 것이다. 대표적인 아티큘레이션은 아래와 같다. Fall : 음의 끝부분이 내려가게 연주 Scoop : 음의 끝부분이 올라가게 연주 Staccato : 음을 짧게 끊어서 연주 Spiccato : 현의 중심부를 활용해 빠른 템포로 연주 Pizzicato : 현을 손톱으로 뜯어 연주 Glissando : 두 음 사이를 미끄러지듯 연주 Crescendo : 음이 점점 세지게 연주 Doit : 음이 미끄러지듯 올라가게 연주 T..

카테고리 없음 2021. 9. 29. 23:43

Part.3 가상 악기 레코딩과 편집 - chapter 10. 가상 악기 레코딩

01. 툴 메뉴(Tool menu) 툴 메뉴의 개념과 공통 툴 왼쪽은 현태 사용하고 있는 툴을 보여주고 오른쪽은 command 키를 눌렀을 때 사용 가능한 활성화되는 툴을 보여준다. 자주 사용하는 툴을 오른쪽에 설정해 두고 필요할 때마다 잠깐씩 command 키를 눌러 해당 툴을 사용하면 된다. 툴의 변경은 툴을 변경할 영역에서 T 키를 누르면 뜨는 툴 변경 메뉴에서 해당 번호를 눌러 선택하면 된다. 모든 작업 영역에서 공통으로 선택할 수 있는 툴로는 포인터 툴, 펜슬 툴, 이레이저 툴이 있다. 포인터 툴 : 기본으로 선택된 툴로서 선택, 이동, 크기 조절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한다. 펜슬 툴 : 새로운 노트나 리전 및 각종 값을 입력할 때 사용한다. 이레이저 툴 : 노트나 리전 및 각종 값을 삭제할 때..

카테고리 없음 2021. 9. 27. 23:55

Part.3 가상 악기 레코딩과 편집 - chapter 09. 가상 악기 레코딩

04. 가상 악기 레코딩 레코딩에 앞서 컨트롤 바 LCD의 세팅을 바꾸는 것이 편할 것이다. 취향에 따라 다르겠지만, 레코딩할 준비가 끝나고 레코딩할 때는 프로젝트와 비트가 표시되는 세팅에서 플레이 시간이 함께 표시되는 세팅으로 바꿔주는 것이 레코딩 진행 상태 등을 바로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편리하다. (LCD 표시방식을 Beats & Time으로 변경) 건반을 이용한 레코딩 레코딩하는 방법은 R 버튼을 누르거나 컨트롤 바 중앙 왼쪽에 있는 레코딩 버튼을 눌러주면 된다. 레코딩을 정지하려면 스페이스 바나 엔터를 눌러주거나 컨트롤 바의 중앙 왼쪽에 있는 정지 버튼을 누르면 된다. 비트 레코딩 EDM 류의 곡을 작업할 때는 규칙적인 비트를 빠르게 또는 느리게 레코딩할 일이 아주 많다. 잉러한 식의 연출을 ..

카테고리 없음 2021. 9. 26. 23:37

Part.3 가상 악기 레코딩과 편집 - chapter 09. 가상 악기 레코딩

01. 레코딩 준비 곡을 레코딩하기 전에 해야 할 일이 있다. 레코딩하기 위한 프로젝트와 가상 악기 트랙을 생성하는 것은 당연하며, 그 외에 작업할 프로젝트의 템포와 박자를 설정하고 원활한 레코딩을 위해 메트로놈과 카운트인을 설정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프로젝트 생성과 가상 악기 트랙 추가 전 게시물에서 했던 세팅을 따라했다면 로직 실행 시 빈 프로젝트가 생성되지 않을 것이다. 따라서 [주 메뉴] → [File] → [New]를 클릭해 새로운 빈 프로젝트를 생성해야 한다. 새로운 빈 프로젝트를 생성하면 아래 그림과 같이 새로운 트랙을 추가하는 메뉴가 뜬다. 기본으로 가상 악기 트랙이 선택되어 있고 생성할 트랙의 세부 정보가 아래에 뜬다. 가상 악기 레코딩을 할 것이므로 기본으로 선택된 Software In..

카테고리 없음 2021. 9. 25. 23:57

Part.2 인터페이스와 기본 사용 법 - chapter 08. 세팅과 인터페이스 사용자화

01. 설정 일반과 고급 툴 활성화 프로젝트를 시작하기 전에 체크하고 넘어가는 것이 좋은 환경 설정의 일부를 살펴보자. [주 메뉴] → [Logic Pro X] → [Preferences] → [General...]을 선택해 설정 창으로 들어간다. 설정으로 들어가면 다음과 같은 설정 창이 뜬다.(아래 사진은 이전 버전 사진이다.) Start Action 항목에서는 Do Nothing으로 설정하여 로직을 실행한 뒤 아무것도 동작하지 않는 것으로 해놓는 것이 편하다. 이외에도 자신이 편한 세팅으로 바꾸고 사용해도 좋다. 오디오 탭에서 신경 써야 할 부분은 Output Device와 Input Device, 그리고 I/O Buffer Size이다. Input Device와 Output Device는 사운드를 ..

카테고리 없음 2021. 9. 25. 22:39

Part 2. 인터페이스와 기본 사용법 - chapter 07. 로직 작업 과정 미리보기

이번 챕터에서는 본격적으로 곡의 레코딩과 편집 작업에 들어가기 전에 어떤 식으로 이 조각을 하나로 묶어낼 수 있는지에 대한 전체 그림을 대략적으로 그려본다. 이 챕터를 통해 '지금 무엇을 하는지' 확실하게 파악하며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여기서 나오는 단계는 작업의 '정석'이 아니라 대략적인 작업 프로세스를 살펴보기 위해 임의로 정리해둔 것 뿐이다. 어느 정도 활용법을 숙지한 뒤 본인의 작업 스타일에 맞춰 자유롭게 해나가면 된다. 1단계 이제 당신은 곡을 쓰고자 한다. 멜로디와 코드, 사용할 악기와 곡의 빠르기 등 곡에 대한 대략적인 이미지가 머릿속에 떠올랐을 것이다. 일단 로직을 실행해 새로운 빈 프로젝트를 생성한다. 2단계 프로젝트 생성과 동시에 반드시 한 개의 트랙을 생성해야만 한다. 먼저..

카테고리 없음 2021. 9. 25. 22:15

Part.2 인터페이스와 기본 사용 법 - chapter 06.로직 프로 메인 윈도우

시작하기에 앞서 단축키는 사용자 환경에 따라 자판이 한글로 설정되어 있을 때 전혀 동작하지 않거나 일부만 동작하는 버그가 있다. 만약 자판이 한글로 설정된 상태에서 단축키가 동작하지 않는다면 영어로 자판을 변경하면 단축키를 사용할 수 있다. 자판의 한영은 command + 스페이스 바를 눌러 전환한다. 한글일 때 단축키가 동작하게 하고 싶다면 키의 위치에 반응해 동작하도록 설정하면 된다. [주 메뉴] → [Logic Pro X] → [Key commands] → [Edit..]으로 들어간 뒤 오른쪽 메뉴에서 아래의 그림에 보이는 Learn by Key Position을 클릭한다. 파란색 버튼으로 바뀌면 활성화가 된 것이다. 아래 그림과 같은 모습으로 데모 프로젝트가 로딩됐을 것이다. 로직을 실행했을 때 ..

카테고리 없음 2021. 9. 24. 23:54

추가 정보

인기글

최신글

페이징

이전
1 2
다음
TISTORY
공대생의 음악 공부 © Magazine Lab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